Exhibitions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via smdd K-Heritage

2025 이음의 합

김동식/김대성

김동식 국가무형유산, 선자장 

김대성 국가무형유산 선자장 이수자 

Kim Dong-sik  

[Seonjaja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lder  

Kim Dae-sung  

[Seonjajang Trainee] 

황칠 합죽선 한지, 상아, 낙죽 85×45 살수50살 

Hwangchil Hapjukseon (Yellow Lacquer Folding Fan), Hanji (Korean Paper), Ivory, Bamboo Carving, 85 × 45 cm, 50 Ribs 

흰색백접윤선(White Butterfly Round Fan) 한지(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우족(Cow Horn), 낙죽(Charred Bamboo) 51×27 

검정백접윤선 한지(Black Butterfly Round Fan), 유창목(Paulownia), 낙죽(Charred Bamboo83×68 

옻칠윤선 한지(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대추나무 (Jujube Wood), 낙죽(Charred Bamboo) 지름64길이96 Diameter 64 cm, Length 96 cm 

 

Kim Dong-sik  

[Seonjaja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lder  

Kim Dae-sung  

[Seonjajang Trainee] 

Hwangchil Hapjukseon (Yellow Lacquer Folding Fan), Hanji (Korean Paper), Ivory, Bamboo Carving, 85 × 45 cm, 50 Ribs 

White Butterfly Round Fan 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Cow Horn, Charred Bamboo 51×27 

Black Butterfly Round Fan, Paulownia, Charred Bamboo  83×68 

Ottchil Yunseon (Lacquered Round Fan) (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Jujube Wood, Charred Bamboo Diameter 64 cm, Length 96 cm 

 

국가무형유산 선자장 김동식 선생의 집안은 국내에서 가장 오랫동안 합죽선의 맥을 이어온 일가로 외증조부 라경옥(1860년)으로부터 계보가 시작된다. 외조부 라학천 선생은 1956년 고종 황제에게 합죽선을 진상할 만큼 합죽선 기술이 뛰어났다. 합죽선은 대나무살 두 개가 붙여 만들어진 접부채로, 조선시대에 크게 유행하여 문신 사대부들의 애장품으로 사랑받았다. 이를 이어받아 김동식 선생은 현재까지 100% 전통 방식으로 최상의 품질의 합죽선을 제작, 보전과 전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Master Kim Dong-sik,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lder for the Seonjajang (traditional fan making) craft, hails from a family with the longest tradition of making Hapjukseon (folding fans) in Korea. This legacy began with his great-grandfather, Ra Kyung-ok, in 1860. His grandfather, Ra Hak-cheon, was so skilled in making Hapjukseon that he presented them to Emperor Gojong in 1956. Hapjukseon, folding fans made by joining two bamboo slats, were highly popu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cherished by scholarly noblemen. Continuing this tradition, Master Kim Dong-sik still produces Hapjukseon using 100% traditional methods, striving to maintain and pass down this high-quality craftsma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