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s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via smdd K-Heritage

2024 반아호연(盤牙浩然)

김춘식 / 김영민

김춘식[소반장] – 국가무형유산 / 김영민[소반장 이수자]

일본의 민예 연구가 야나기 무네요시는 1922년 펴낸 ‘조선과 그 예술’을 통해 나주반 업자의 명맥이 거의 끊어졌다고 언급했다. 1955년부터 삼종형인 김락연의 밑에서 목수 일을 배운 국가무형유산 김춘식 선생은 아드님인 김영민 이수자와 함께 나주반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나주반은 간결하면서 견고한 것이 특징이다. 천판의 네 귀를 귀접이하여 모를 잘라낸 형태로서, 가락지(다리를 연결하는 가로 부재)등의 간결미가 우선한다. 상판 가장자리인 변죽이 특징인데 아교를 칠하고 홈을 판 변죽을 둘러 끼우는 방식으로 이곳에는 대못을 쳐서 견고함을 더한다.

 

나주반, 은행나무, 옻칠

나주반, 은행나무, 옻칠

나주반, 느티나무, 옻칠

나주반, 느티나무, 옻칠

 

Kim Chun-sik [Sobanjang] –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lder / Kim Young-min [Sobanjang Certified Trainee]

In his 1922 publication “Korea and Its Art,” Japanese folk art researcher Yanagi Muneyoshi noted that the tradition of making Naju-ban (Naju trays) was nearly extinct in Korea. Master Kim Chun-sik,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lder, has been preserving this craft since 1955 when he began learning carpentry from his relative, Kim Rak-yeon. He now continues this legacy with his son, trainee Kim Young-min.

Naju-ban trays are renowned for their simplicity and sturdiness. The tabletops feature a distinctive design with folded and cut corners, highlighting the minimalism of the connecting under-beams (horizontal beams connecting the legs). The edge of the tabletop, called “byeonjuk,” is a unique feature where a groove is carved, glued, and then reinforced with large nails for added durability.

 

Naju-ban, Ginkgo Wood, Lacquer

Naju-ban, Ginkgo Wood, Lacquer

Naju-ban, Zelkova Wood, Lacquer

Naju-ban, Zelkova Wood, Lacqu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