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관 – 국가무형유산 채상장 전승교육사 2대 채상장인 고 서한규옹이 대살을 만들면, 따님인 서신정 장인(現 보유자)이 염색하고 문양을 짜고 바느질하는 섬세한 작업을 맡아었다. 원래 채상은 대나무를 균등하게 떠내는 것부터 시작된다고 하며, 이를 위해 3~4년 자란 왕대나무를 대칼로 쪼개고, 입으로 물어 얇게 떠낸 후 완성된 대살을 다양한 색으로 염색해 문양을 짜며 상자 형태로 모양을 잡아 나가는 것이 그 끝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서한규옹의 뒤를 이어 사위이자 서신정 보유자의 남편인 김영관 선생이 대살 기능을 전수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삼합 채상, 대나무, 삼베, 350 x 230 x 150, 2018삼합 채상, 대나무, 삼베, 440 x 280 x 180, 2018삼합 채상, 대나무, 삼베, 540 x 330 x 210, 2018 Kim Young-gwan –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esangjang Master and EducatorThe second-generation Chaesangjang master, the late Seo Han-gyu, crafted the bamboo strips, while his daughter, Artisan Seo Shin-jeong (the current holder), handled the delicate tasks of dyeing, pattern weaving, and sewing. Traditionally, chaesang (bamboo-strip boxes) begins with evenly slicing bamboo. To do this, 3- to 4-year-old large bamboo is split with a large knife, then thinly sliced by holding it in the mouth. The finished strips are dyed in various colors, woven into patterns, and shaped into boxes, completing the process. Following in Seo Han-gyu’s footsteps, his son-in-law and Seo Shin-jeong’s husband, Master Kim Young-gwan, has inherited and continues to pass down the bamboo strip-making technique. Samhap Chaesang, Bamboo, Hemp Cloth, 350 x 230 x 150 mm, 2018Samhap Chaesang, Bamboo, Hemp Cloth, 440 x 280 x 180 mm, 2018Samhap Chaesang, Bamboo, Hemp Cloth, 540 x 330 x 210 mm, 2018
Exhibitions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via smdd K-Heritage
2024 반아호연(盤牙浩然)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