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s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smdd 전시회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과 이해를

via smdd K-Heritage

2024 이음의 결

윤규상/윤성호

윤규상 [전라북도 무형유산] – 우산장 / 윤성호 [우산장 이수자]
전라북도 무형유산 우산장 윤규상 선생은 대한민국 유일 지우산 장인이다. 아들인 윤성호 이수자는 옛 지우산의 아름다움을 이 시대에도 향유할 수 있도록 ‘조각우산’을 개발하였다. 조선시대 당시 우산은 하늘을 가린다는 이유로 평민들에게 금기시 되어 있었으며, 하늘과 동격인 임금만이 쓸 수 있었다. 일산(日傘)이라 하여 양산으로 주로 사용되었고, 이후 고위직 관료들에 퍼져나갔다고 한다. 지난 2022년 프랑스와 멕시코에서 열린 트레디셔널 코리아에서도 지우산이 소개되었다.

조각우산 1,370×1,060mm, 한지, 대나무
한지우산 1,370×1,060mm, 한지, 대나무

작품 관련 문의: 010-8650-3283
진형식 DanielJin_Photo

 

Yoon Kyu-sang [Jeollabuk-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Usanjang (Umbrella Making) / Yoon Seong-ho (Usanjang Certified Trainee)
Master Yoon Kyu-sang, recognized as a Jeollabuk-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lder, is South Korea’s only traditional bamboo-paper umbrella artisan. His son, Yoon Seong-ho, an apprentice, developed the ‘Jogeak Umbrella’ to bring the beauty of ancient bamboo-paper umbrellas into the modern era. In the Joseon Dynasty, umbrellas were taboo for commoners because they symbolically covered the sky, a privilege reserved for the king, who was considered equal to the heavens. These umbrellas, known as ‘Il-san’ or parasols, were primarily used as sunshades and later became popular among high-ranking officials. In 2022, traditional bamboo-paper umbrellas were showcased at the Traditional Korea event held in France and Mexico.

 

Jogeak Umbrella: 1,370 x 1,060 mm, hanji paper, bamboo
Hanji Umbrella: 1,370 x 1,060 mm, hanji paper, bamb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