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헤리티지 아트전: 서로서로 확장하고 공존하는 공예와 미술
K-헤리티지아트전은 공예와 미술을 한 전시회로 엮은 ‘공예+미술’전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통공예를 계승하거나 현대화시키고 있는 공예 작품들과, 장르와 매체에서 다양성과 실험성을 보여주는 현대 미술 작품들을 한자리에서 보여줌으로써 제4차 산업혁명의 변혁 속에서도 그 가치를 발하고 있는 인간적 창의성의 의미를 깨닫게 한다.
공예와 미술은 각각 고유의 기능과 덕목을 지닌 유익하고 의미 있는 문화 활동이다. 공예는 실용성과 장식성의 양면을 조화시켜 생필품이나 일용품을 멋스럽게 제작하고 이로써 우리 생활을 윤택하게 해준다. 미술은 정신적 풍요와 미적 쾌감을 불러일으키는 순수한 창조 활동으로 문화사의 중요한 한 흐름을 조성한다. 또한 공예에서는 지역과 민족의 전통으로 형성되어 온 집단적 특성이 두드러지지만, 미술은 개인적 비전이나 특정 이념이 앞서는 자율적인 영역이다. 이렇듯, 공예와 미술은 순수와 실용, 예술과 기술이라는 존재 양상에서 서로 다를 수밖에 없는 장르적 차이를 갖지만, 그럼에도 서로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보완적인 장르들이자 개인과 사회,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지속 가능한 매체로서 시너지를 발휘한다.
되돌아보면 공예는 미술과 애매모호하고 편치 않은 관계를 유지하며 복잡다단한 경로를 통해 발전해 왔다. 역사적으로 공예는 순수와 실용, 아티스트와 장인, 엘리트와 대중의 이분법적 위계 속에서 예술보다 하위 장르로 폄하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기계적 기술에 의존하는 공장 제품이 등장하면서 대량생산이 지니지 못한 장인 정신을 재평가받으며 장르적 위상을 회복했다. 중세의 수공예 전통에서 공예의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것의 사회적 의미를 설파한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의 ‘예술 공예 부흥 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은 이러한 흐름에 결정적 쐐기를 박았다. 그리하여 실용성보다는 예술성을 중시하는 ‘예술 공예’의 길이 터진 이래, 근대 공예는 과거의 전통과 동시대 미학, 예술성과 실용성, 일품주의와 대량 생산의 사잇길에서 소수정예를 위한 관상용 예술 공예로 발전하며 순수미술과의 거리를 좁혀왔다.
공예와 미술의 거리 좁히기는 특히 현대미술이 천, 수예, 퀼트, 지승, 누비, 짚풀, 옻칠, 자개 등, 공예적 재료를 수용하거나 방법론을 인용하면서 박차가 가해졌다. 본디 공예는 익명의 여성들, 그들의 가사행위와 살림노동에 힘입어 발전되었고, 여성들에게 친숙한 수공예나 민예는 여성미술이나 페미니즘 미술의 미학적, 정치적 토대를 이루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 이제는 페미니즘과 무관한 다수의 남녀 예술가들에 의해서도 공예가 새로운 조형 언어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역으로 공예는 현대미술의 어법을 원용하여 전통의 현대화를 도모하며 미술관 전시품으로 그 보폭을 넓히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서로서로 확장하고 공존하는 공예와 미술의 의미 있는 조우를 다시금 성찰하게 된다.
이에 앞서 특기할만한 사실은 한국 공예는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미니멀한 조형성으로 세계적 인정을 받고 있는 점이다. 형식면에서 특정 사조의 현대미술과의 ‘가족 유사성’을 표출하고 있는 공통점 외에도, 공예와 미술은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문화에 대한 재평가의 맥락에서 시의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것은 기계가 아닌 인간의 손과 두뇌로 창조되는 원초적 생명력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대적 열망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 열망이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기술과 예술, 남성과 여성, 자연과 문화의 이분법을 초월하는 혼성적 감성으로 파급되는 K–웨이브의 흐름속에서 빛을 발할 때 공예와 미술은 글로컬한 세계성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팝뮤직, 영화에 이어 공예와 미술이 한국 시각문화의 우수성을 확인시키는 문화적 자산이자 K-컬쳐의 보루로 자리매김되지 않을까 기대해 보는 까닭이다.
김홍희 (백남준문화재단 이사장/전 서울시립미술관장)
K-Heritage Art Exhibition: Craft And Art That Coexist And Grow Together
The K-Heritage Art Exhibition stands out for its distinctive fusion of craft and art into a single showcase. By bringing together traditional crafts—whether inherited or modernized—with contemporary art that spans diverse genres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he exhibition invites us to appreciate the enduring value of human creativity, even in the midst of the transformative changes brought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aft and art are both valuable and meaningful cultural expressions, each with its own distinct functions and virtues. Craft combines practicality and decoration, creating stylish everyday objects that enrich our lives. Art, as a purely creative endeavor, evokes spiritual richness and aesthetic pleasure, making a vital contribution to cultural history. While craft often reflects collective characteristics shaped by regional and ethnic traditions, art is more autonomous, driven by personal vision or specific ideologies. Despite their inherent differences—craft being practical and art being pure, one rooted in technique and the other in aesthetics—craft and art are complementary. They influence each other, creating synergies as sustainable forms of media that connect individuals with society, and regions with the world.
In retro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raft and art has been complex, nuanced, and sometimes uneasy. Historically, craft was regarded as a lower genre than art, confined to the realms of utility and craftsmanship within a hierarchical structure that separated fine art from craft, artists from artisans, and the elite from the masses. However, the advent of mechanical produc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ch relied on mechanical techniques, prompted a reevaluation of craftsmanship, recognizing its value as something mass production couldn’t replicate.
This shift restored craft’s status as a significant genre.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led by William Morris—who rediscovered the artistic value of craft within medieval handicraft traditions and emphasized its social significance—played a pivotal role in this transformation. Ever since the movement paved the way for “artistic crafts,”, which emphasized artistry over pragmatism, modern craft has bridged the gap between past traditions and contemporary aesthetics, between artistry and utility, and between high-quality craftsmanship and mass production, evolving into a form of decorative art for the elite and narrowing the divide between craft and fine art.
The fusion of craft and art has gained significant momentum, particularly as contemporary art has increasingly embraced craft materials and techniques such as embroidery, quilting, paper weaving, straw work, lacquer, and mother-of-pearl. Originally, craft developed through the household activities and labor of anonymous women, with these familiar handicrafts and folk arts laying the aesthetic and political foundations for feminist art. Today, craft is widely utilized as a new visual language by a broad spectrum of artists, both male and female, regardless of their connection to feminism. Conversely, craft, by adopting the grammar of contemporary art, attempts to modernize tradition, and expand its presence in museum exhibitions. This evolution encourages us to reflect on the meaningful encounters between craft and art, as they continue to expand and coexist.
It’s also worth noting that Korean craft has gained international recognition for its minimalist and refined aesthetics. In addition to their commonalities in form, which reflect a “family resemblance” with certain modern art movements, crafts and art share a timeliness in the context of the re-evaluation of analog culture in the digital age. This relevance resonates with a yearning for the primal vital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ound in creations made by human hands and minds, rather than by machines. When this aspiration shines through the hybrid sensibilities of the K-Wave, craft and art can achieve universality, as represented by the term “glocal,” by transcending the dichotomies of tradition and modernity, East and West, technology and art, male and female, and nature and culture. This is why I believe that Korean craft and art,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K-pop and Korean cinema, will establish themselves as cultural assets that highlight the excellence of Korea’s visual culture and become the new frontiers of K-Culture.
Kim Hong-hee(Chairperson of the Board, Nam June Paik Cultural Foundation/ Former Director, Seoul Museum of Art)